본문 바로가기
이슈

더본코리아, 상장 이후 주가 부진 원인 분석과 향후 전망

by 김쿠삼 2025. 1. 13.
반응형

더본코리아, 상장 이후 주가 부진… 원인은 무엇일까?

백종원 대표가 이끄는 더본코리아가 지난해 코스피 상장에 성공하며 큰 화제를 모았지만, 이후 지속적인 주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상장 첫날 기대를 모으며 상승했던 주가는 현재 공모가를 하회하며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높은 브랜드 인지도와 성장 가능성을 앞세워 성공적인 데뷔를 알렸지만, 현재의 주가 흐름은 시장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이번 글에서는 더본코리아의 상장 이후 주가 부진의 원인을 분석하고, 향후 전망 및 극복 과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더본코리아 상장, 화려한 데뷔와 현재의 부진

더본코리아는 2024년 11월 코스피에 상장하며 외식업계 최초로 코스피 시장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공모가는 3만4,000원으로 확정되었고, 상장 첫날에는 주가가 5만1,400원으로 마감하며 공모가 대비 51.18% 상승한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상장 당일 장중에는 6만4,500원까지 치솟아 시장의 관심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상장 후 몇 달이 지난 현재, 더본코리아의 주가는 크게 하락하며 상장 당시의 기대감을 무색하게 하고 있습니다. 2025년 1월 12일 기준, 더본코리아의 주가는 3만2,100원으로 공모가를 밑돌며 상장 당일 최고가 대비 약 50.2% 하락한 상태입니다.

상장 당시 약 9,453억 원에 달했던 시가총액은 현재 4,705억 원으로 감소했으며, 이는 더본코리아가 외식업계의 성장 가능성을 제대로 증명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주가 부진의 주요 원인

1.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의 매도세

상장 이후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주가 하락을 이끄는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상장 후 3거래일 동안 기관은 292억 원, 외국인은 123억 원어치의 주식을 순매도한 반면, 개인 투자자들은 434억 원을 순매수했습니다. 기관과 외국인의 매도세는 시장에 부정적인 신호를 보냈으며, 개인 투자자들의 신뢰도 역시 하락하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2. 밸류에이션 논란

상장 당시 더본코리아의 기업 가치 평가가 지나치게 높게 책정되었다는 논란이 있었습니다. 공모가가 희망 범위 상단을 초과한 3만4,000원으로 확정되었지만, 기관 투자자들의 의무보유확약률은 10.2%에 불과했습니다. 이는 상장 이후 매도 물량이 대거 출회될 가능성을 시사하며, 실제로 상장 후 빠르게 주가 하락으로 이어졌습니다.

3. 외식 시장의 경쟁 심화

더본코리아는 프랜차이즈 중심의 외식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대표 브랜드 ‘빽다방’이 전체 매출의 37.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가 커피 시장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더본코리아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소비자 트렌드 변화와 외식업계의 포화 상태는 더본코리아의 수익성을 압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4. IPO 시장 침체

더본코리아가 상장한 시기는 IPO 시장의 전반적인 침체기였습니다. 글로벌 경기 둔화와 금리 인상으로 인해 투자자들이 위험 자산에 대한 투자를 꺼리면서, 더본코리아의 주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실적 성장에도 주가 하락… 괴리를 해소할 방법은?

더본코리아는 주가 부진과는 별개로 실적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역대 최대 매출인 4,107억 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도 316억 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매출 성장률은 39.7%로, 외식업계 내에서 상당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장은 여전히 더본코리아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확신을 갖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는 실적 성장과 주가 하락 간의 괴리가 존재함을 의미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합니다.


더본코리아의 극복 과제

1. 사업 다각화

현재 더본코리아의 매출은 빽다방, 새마을식당 등 주요 프랜차이즈 브랜드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사업 다각화를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해야 합니다. 특히 온라인 유통, HMR(가정간편식) 사업 등으로 진출해 매출 구조를 다변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주주 친화 정책 강화

배당 확대나 자사주 매입 등 주주 친화적인 정책을 통해 투자자들의 신뢰를 회복해야 합니다. 이러한 정책은 장기적으로 주가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투명한 경영과 정보 공개

더본코리아는 상장사로서 투명한 경영과 정보 공개를 통해 투자자와의 신뢰를 쌓아야 합니다. 실적 발표 시 구체적인 성장 전략과 계획을 제시함으로써 시장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향후 전망

더본코리아는 높은 브랜드 인지도와 국내외 외식 시장에서의 입지를 바탕으로 성장 가능성이 큰 기업입니다. 특히 백종원 대표의 대중적인 이미지와 신뢰는 더본코리아의 가장 큰 자산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현재의 주가 부진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실적 성장과 함께 시장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투자자들은 더본코리아의 사업 방향성과 재무 실적을 면밀히 검토하고 신중하게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